INTP의 멋대로 개발 세상

(23.06.28) 직접 만든 홈페이지 깃허브를 이용해 배포하기 본문

분류 전

(23.06.28) 직접 만든 홈페이지 깃허브를 이용해 배포하기

인팁구름 2023. 7. 1. 00:55

웹페이지를 만들 때 기본적으로 폴더세팅은 이렇게 하는 것이 깔끔하다!!

 

위 처럼 CSS와 JavaScript를 폴더 안에 파일로 따로 정리해두면 HTML 페이지에 링크를 걸어 불러와 주어야 적용이 된다.

 

 

index라는 이름의 html은 웹페이지를 열었을 때, 가장 먼저 띄워지는 페이지이다.

 

 

그렇기 때문에 마지막 주소에 index.html 부분을 지워도 동일 페이지가 출력된다.

 

 


 

홈페이지 배포하기

 

배포란?

쉽게 말해서 나 말고 다른 사람도 같이 볼 수 있게 하는 것!!

Github Pages를 사용하여 쉽게 배포할 수 있다.

 

 

 

 

깃허브 프로필 사진을 눌러서 Settings에 들어가 Repository 탭의 디폴트 브랜치명을 master로 바꾸자.

(크게 상관은 없음)

 

 

 

우선 배포를 위한 레파지토리를 생성하고 푸쉬해 준다.

푸쉬 후 settings -> pages -> Branch를 사진과 같이 설정하고 Save

 

 

 

 

Save를 누른 뒤 조금 기다리면 위에 생성된 주소가 뜬다.

상황(?)에 따라 조금 늦게 뜰 수도 있다.

위의 주소를 입력하면 내가 만든 페이지를 다른 사람도 볼 수 있게 된다 😃😃

 

 

 

 

 

html 파일명을 index로 바꾸어야 링크를 클릭했을 때 바로 페이지가 뜬다!!!

안그러면 주소 끝에 파일명.html을 직접 입력해야 들어가짐!!!!!!!!!!!!!

 

도메인도 구매한다면 원하는 대로 주소 설정을 할 수 있다!

 

 

버전관리

파일명에 1.0.0 ... 이렇게 써져있는 것을 많이 볼 수 있다.

이 숫자는 버전에 대해서 적어놓은 것이다!

 

 

베타버전

보통 0.0.1 .. 이렇게 표현하는데,

. 점 사이의 숫자들이 무슨 의미일까?

 

 

맨 왼쪽 숫자는 프로그램의 메인 버전을 의미함
중간의 숫자는 기능이 추가될 때마다 증가한다
맨 오른쪽의 숫자는 버그를 해결할 때마다 증가한다.

 

예시)

 

1.0.0

기능 추가 - 1.1.0

버그해결 - 1.1.1

버그해결 - 1.1.2

기능 추가 - 1.2.0

메인버전 증가 - 2.0.0

 

앞의 숫자가 올라가게 되면 뒤쪽 숫자는 0으로 리셋됨

 

 

Comments